이전 글에서 진행한대로 HAOS를 설치했으면 내부망에서 HomeAssistant에 접속이 가능하다.
기본 포트는 8123으로 필자의 환경에서는 192.168.0.x:8123 주소를 입력하여 접속하였다.
처음 구성에 시간을 약간 기다리면 HomeAssistant 화면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제는 각종 장치들을 연결할 준비를 해야하는데, 그 첫번째가 Home Assistant Commuity Store(줄여서 HACS)로 HomeAssistant 시스템의 앱스토어라고 보면 된다.

SSH 애드온 설치하기

HACS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SSH 접속이 필요하다. 이 과정을 번거롭지 않게 웹에서 할 수 있도록 애드온을 설치해주면 좋다.

가장 먼저 왼쪽 하단 아이디를 클릭하고, 고급 모드를 활성화 해준다.

설정에서 애드온 메뉴를 클릭하고, 오른쪽 아래 애드온 스토어로 들어가 SSH를 검색한다.

Terminal & SSH 를 클릭하고 설치해준다.

설치하고 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는데, 여기에서 [웹 UI 열기]를 클릭해주면 HAOS를 처음 시작했을 때 보았던 cli 화면이 나오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cli에서 작업할 일이 있을 때 HAOS에 직접 입력하지 않고도 작업을 할 수 있다.

HACS 설치하기

cli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해준다.

wget -O - https://get.hacs.xyz | bash -

그렇게 되면 아래와 같이 설치가 진행이 되면서 HACS 설치가 진행이 된다.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HAOS를 재부팅해주어야 하는데, 개발자도구 메뉴에서 진행할 수 있다.
앞으로 설정을 변경하고 HAOS를 재부팅하는 경우가 자주 생기는데, 이 방법으로 계속 진행되므로 기억해두면 좋다.

설정에서 "기기 및 서비스"를 클릭해서 들어가주고,

오른쪽 하단 "통합구성요소 추가하기"를 클릭하고 haos를 검색하여 클릭해준다.

4가지 정도 동의하는 항목이 나오고 다음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표시된 링크로 들어가 github 계정에 연결해준다. (github 계정 필요)

등록이 완료되고 나면 왼쪽 메뉴바에 HACS가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HomeAssistant에 HAS를 설치하였고, 다음에는 HA에 집에 있던 장치를 한가지 연결하여 HA가 동작하는 것을 확인해볼 예정이다.

내용 관련하여 도움이나 조언 언제든 환영합니다!

반응형

'HOME ASSISTA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 미니PC에 HAOS 설치하기  (0) 2025.01.19
미니PC에 Home Assistant 설치하기[시작]  (0) 2025.01.19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